도입부의 마력 정영수의 『애호가들』(2017)




소설을 쓸 때 항상 강조하는 부분이 있다. 제목, 그리고 첫 문장이다.

제목과 첫 문장은 소설의 얼굴이다. 사람도 얼굴과 옷차림새 같은 외관으로 첫인상이 결정된다. 소설도 마찬가지다. 제목과 첫 문장. 이 둘이 소설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서점에서 책의 앞 부분, 도입부를 살펴보고 구매를 결정한다. 때문에 가장 중요하고 쓰기 어렵다.


'도입부'라는 첫 단추만 잘 끼워도, 이미 반은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서점에 가면 신간 소설의 도입부를 하나 씩 훑어본다. 독자를 끌어당기는 매력을 지닌 제목을 찾아 책을 집고, 첫 문장을 살펴본다. 열 중에 여덟은 제목에서의 매력이 첫 문장까지 이어지지 않는다. 그러면 책을 내려놓는다. 소설 코너를 샅샅히 뒤지고도 마음에 드는 책을 못 찾으면 코너를 떠난다. 그 날, 내 쇼핑백에 소설책은 없는 거다. 


아주 잔인한 일인데, 유독 소설만이 도입부로 평가 받는다. 생각해보면 그렇다.

자기개발서는 필요한 사람이라면 도입부가 어떻든 사서 본다. 뭐, 습관이나 꿈, 공부법, 시간 활용법 등등. 주제만 맞으면 많은 사람들이 거리낌 없이 자기개발서를 구매한다. 에세이 역시 주로 자신과 연관이 있는 경우에는 도입부 따위를 따지지 않는다. 여행을 가기 전에 보는 여행 에세이나, 같은 직종에서 일을 하는(혹은 내가 되고 싶은 직업을 가진) 사람의 에세이 같은 건 도입부를 신경 쓰지 않는다. 시는...... 도입부를 언급하기 전에 이미 읽는 사람만 읽는다. 안타깝게도.


물론, 정말로 완전히 도입부를 신경 쓰지 않는 건 아니다. 소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입부에 대한 비중이 적다는 뜻이다.

소설은 도입부가 힘이 없으면 독자를 이야기의 끝으로 끌고 갈 수 없다. 도입부의 힘이란 '책을 끝까지 읽게하는 힘'이다. 소설은 도입부에서부터 그 힘을 발휘해야 한다. 독자는 그 힘으로 소설의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게 된다.


정영수의 소설이 그랬다.


도입부를 다 읽자마자 책을 덮었다. 그리고 카운터로 가서 계산을 마쳤다. 군더더기가 없어 깔끔하게 읽히는 담백한 문장도 좋았지만, 그 내용이 너무 좋았다. 매력적인 게 아니라 어떤 마력을 가진 것 같았다. 흡입을 당하듯 강하게 끌렸고, 나는 책의 첫 작품 「레바논의 밤」의 도입부만 몇 번을 곱씹었다. 그 마력의 도입부를 아래 적는다.



베이루트의 성벽 앞에 현자라 알려진 노인이 있었다. 어느날 한 남자가 그에게 물었다.

"왜 신은 우리에게 말을 걸지 않을까요? 왜 그의 뜻을 전달하려 하지 않는 걸까요?"

그 말을 들은 노인은 벽을 가리키며 말했다.

"저기 벽을 따라 날고 있는 나방이 보이시오? 저 나방은 벽을 하늘이라고 생각하고 있을 거요. 당신이 만약 벽을 하늘로 생각한다면, 저것은 나방이 아니라 새겠지. 그게 아니라는 걸 우리는 알고 있소. 하지만 나방은 우리가 그것을 안다는 것은 물론 우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모르지. 당신은 나방에게 그것을 알려줄 수 있겠소? 나방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당신의 뜻을 전달할 수 있느냔 말이오."

"모르겠습니다. 나방에게 어떻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겠습니까."





노인은 남자의 말이 끝나자 손바닥으로 나방을 탁 쳐서 죽였다.

"보시오 이제 나방은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과 나의 의사를 알게 되었소."



이 도입부를 읽고는 뒷통수를 얻어 맞는 느낌이었다.

개인적으로는 이 책을 통틀어서 이만한 문장, 문단이 없었다.


이야기의 끝을 보고 싶다면, 당장 이 책을 사러 가시라.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next